본문 바로가기

IT관련

오라클DB에서 큰작업 돌릴때 얼마나 수행되었는지 진행상태 확인하는 방법 오라클 DB 에서 뭔가 큰테이블을 생성하거나 대량으로 데이터를 Insert 하는 등의 대형작업을 수행할 때, 언제쯤 내 작업이 끝날지, 지금 얼마나 수행되었는지 궁금할때가 있습니다. 이때 확인하는 방법들중에 Realtime SQL Monitor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Realtime SQL Monitor 에 대해서는 예전에 포스팅한게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 여기 클릭 'TEXT', report_level=>'ALL', active_since_sec=>60) as report from dual; 위 SQL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현재 실행되고 있는 SQL Text 와 SQL ID 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QL Text 를 보고 내가 실행중인 SQL ID 값을 찾는 겁니다. 위에서 찾.. 더보기
Oracle 무료 DB관리툴 ((EM Express)) - 접속 방법 지난번 포스트에서 오라클 EM Express 에 대한 개략적인 소개를 했었습니다. 이번에는 EM Express 에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EM Express 는 별도의 설치가 필요없습니다. Oracle DBMS 를 설치하면 자동으로 설치되어 바로 접속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예전에는 별도로 기동시켜줘야 했었는데, 11g 였나? 12c 부터는 리스너(Listener)로 통합되어 버렸습니다. 즉, 리스너를 기동하면 EM Express 도 같이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이것은 lsnrctl status 커맨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에 리스너 상태를 보면, 1521 번 포트와 5500 포트로 리스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521 은 DB 접속하는 SQL*Net 포트이고, 55.. 더보기
Oracle DB관리툴 "EM Express" 와 "EM Cloud Control" 소개 및 차이 비교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DB 관리툴에 "SQL Developer" 라는 툴이 있고, "EM(Enterprise Manager)" 이라는 툴이 있습니다. SQL Developer 는 PC에 설치해서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방식이고, EM 은 웹브라우저를 이용해서 사용하는 웹UI 프로그램 형태입니다. 둘다 DBMS 를 관리하는 관리도구 입니다. 근데, EM 의 경우는 또 두가지로 나뉩니다. "EM Express" 와 "EM Cloud Control" 입니다. EM Express 는 과거 버전에서는 "DB Console" 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었다가 이름이 바뀌었고, EM Cloud Control 은 과거에 "EM Grid Control" 이라고 불렸다가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차이는 EM Express 는 특.. 더보기
Oracle 무료 DB관리툴 2탄 - EM Express 소개 오라클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쌈빡한 무료 DB관리도구로 지난번에 SQL Developer 에 대해서 소개해드렸었는데, 이번에는 또다른 쌈빡한 툴인 EM Express 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EM Express 는 SQL Developer 와 기능은 거의 같습니다. ㅎㅎ 모든 DB 관리도구가 기능은 모두 같을 수 밖에 없겠죠~ 같은 DB를 가지고 할 수 있는 일들이 뻔하니까요~~ EM Express 와 SQL Developer 의 차이는 "Web 방식 UI" 의 차이 입니다. EM Express 는 웹UI로 지원되는 툴입니다. 따라서 IE 나 Chrome 같은 브라우저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웹UI 방식이라 별도의 설치도 필요없고, 어느 PC 에서든 쉽게 접근이 가능한 아주 큰 장점을 가지고 있죠~ 전체.. 더보기
Oracle RAC 어플리케이션 HA 등록 (Register Cluster Resource) 샘플예제 - 사용자 셸스크립트 오라클 RAC에 사용자 셸스크립트를 등록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RAC는 대표적인 오라클 HA(High Avalibility) 솔루션입니다. HA란 한쪽 서버에 문제가 생겼을때 다른쪽에서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중단없이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1번 DB서버가 장애가 발생하여 셧다운되는 경우 1번 서버에 있던 VIP(Virtual IP)가 2번 서버로 넘어가는 행위가 발생합니다. 이때,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이나 셸스크립트의 경우도 이렇게 넘겨주는(Fail Over) 것이 가능합니다. 이걸 하려면, RAC Cluster (CRS) 에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등록시켜주면 됩니다. 정확히 말하면 Cluster Resource에 User Defined Application 을 등록하는 과정입니다. 아래 오라클 매뉴얼.. 더보기
Oracle EM 온라인 매뉴얼(Online Manual), 도움말(Help) 찾는 방법 오라클 관리도구인 EM(Enterprise Manager)툴을 사용하면서 도움말이나 매뉴얼을 보고자 하는 경우, 쉽게 찾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먼저, 가장 쉬운 방법은 온라인 도움말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EM 화면에서 화면 우측상단에 있는 ["로그인 유저명"(보통 SYSMAN)]을 클릭하고, [도움말] - [Enterprise Manager 도움말] 메뉴를 클릭하면 현재 보고있는 화면에 대한 온라인 도움말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아래와같은 한글 도움말을 볼 수 있습니다. EM 어느 페이지에서든지 똑같은 방식으로 하면 "현재 보고 있는 화면"에 대한 도움말을 볼 수 있습니다. 좀 더 많은 정보를 원하는 경우 매뉴얼페이지에서 직접 매뉴얼을 볼 수 있습니다. 위 메뉴화면에서 [Enterpri.. 더보기
오라클 EM 화면 메뉴, 인터페이스 (영문 <-> 한글) 변경 방법 Oracle EM(Enterprise Manager)를 사용할 때 모든 메뉴가 영문으로 나오는 경우, 한글로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아래는 영어 UI 화면입니다. 아래는 한글 UI 화면입니다. 보통 브라우저의 설정(Setting) 메뉴로 들어가면 Language(언어) 설정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거기에서 바꿔주면 EM 은 브라우저의 언어환경에 맞추어서 화면을 표시합니다. 아래는 구글크롬(Chrome) 의 설정화면입니다. 위 설정화면에 보면 English 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Korean 으로 되어 있는 부분에서 오른쪽 "..." 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팝업창이 나타납니다. 여기에서 "Display Google Chrome in this language" 콤보박스에 체크해주고.. 더보기
오라클 지식인 웹사이트 MOS(My Oracle Support, 구 메타링크) 이용 방법 오라클 제품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Oracle 사이트중에 MOS(My Oracle Support) 라는 사이트와 친해져야 합니다. 특히, DBA 일을 하고 있는 사람들은 더더욱 이 사이트를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MOS는 오라클에서 운영하는 네이버 지식in 같은 사이트입니다. 과거에는 Metalink 라는 이름으로 불렸었습니다. 오라클 관련된 모든 Q&A가 다 이곳에 모여 있습니다. 그러니 궁금한게 있으면 이 사이트로 들어가서 찾아보는게 정석입니다. 물론, 오라클 DBMS에 대한 정보는 네이버나 구글에 검색해도 정보가 아주 많긴 합니다만, 버그성 문제같은 경우에는 MOS에 정보가 훨씬 많고, 더 정확합니다. 게다가 아직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문제의 경우에는 결국 누군가에게 물어볼 수 밖에 없는데, 이 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