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인터넷에서 파일다운로드시 한글 깨짐 현상 - 브라우저에서 Download 할때 인터넷에서 텍스트파일을 다운로드 받을때, 파일명 또는 파일내용에 한글문자가 들어있는 경우 깨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래의 경우처럼 브라우저에서 볼때는 제대로 한글명이 보이는데, 다운로드 하려고 하면, 한글명이 다 깨집니다. 이 깨진 상태로 다운로드가 가능하지만, 이 파일을 받아서 텍스트 에디터로 보려고 하면 열리지 않거나 파일안의 한글문자들이 깨져보입니다. 물론 텍스트 파일이 아니라 ppt 파워포인트나 xls 엑셀 파일의 경우에는, 파일자체가 binary 이기 때문에 파일명만 깨질뿐 내용은 깨지지 않고 다운로드 받아서 오픈 가능합니다. 이런 현상의 원인은 파일자체가 잘못된 것은 아니고, 브라우저의 디폴트 언어(Language)가 한글로 세팅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아래는 구글 크롬(Chrome) 브라.. 더보기 "닭대가리" 와 같은 영어 표현 ㅎㅎ (chickenhead? birdhead?) 우리말로 "닭대가리" 라고 하면, "멍청이", "천치", "바보" 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근데, 이걸 그대로 영어로 옮겨서 chickenhead 라고 하면 안됩니다. 외쿡에서는 이게 좀 다른 의미로 쓰입니다. "남자의 거시기를 좋아하는 해픈 여자" 정도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멍청이" 와는 완전히 다르죠? chickenhead 가 왜 저렇게 사용되는지는 오랄섹스를 하는 모양을 조금만 상상해보면 쉽게 이해가 됩니다.ㅋㅋ 이해가 안되시는 분은 "아 나는 아직 떼묻지 않았구나" 라고 위안하시고.... 닭대가리는 "birdhead" 라고 하시면 됩니다. 비슷한 단어로, "birdbrain" (새뇌) "blockhead" (돌대가리) "chucklehead" (아둔한 머리) "dumbhead" (아둔한 머리).. 더보기 우한폐렴으로 알려진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FAQ 요즘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에 전세계가 시끌벅적 하다보니 자연히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공부를 하게되네요.. 그래서 정리해봤습니다. > 갑자기 예전 "웰컴투동막골" 이라는 영화의 한 대사가 생각나네요. "내 말을 너무 가슴에 담지 마래이~" ㅎㅎ Q) 이번 우한폐렴이 진화될 것인가? 분명히 이번 사태도 과거 사스(SARS) 나 메르스(MERS) 사태처럼 좀 시간이 지나면 지난일이 될 겁니다. 예전에 다 그랬습니다. 바이러스 관련 질환은 항상 그래왔듯이 계절이 바뀌면 잠잠해지죠~~ 해가 갈수록 이런 전염성 질병에 대한 각 국가들의 대응능력이 향상되고 있고, 개인들도 위생에 더욱 신경쓰게 되어 마스크, 손소독제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제는 다들 예전에 쓰다남은 마스크와 손소독제 몇개씩.. 더보기 집중탐구) 레게머리, 드레드락(Dreadlocks), 라스타파리안 흑인종교 힙합(Hip-Hop) 하면 레게머리 아니겄습니까? ㅎㅎ 근데, 레게머리를 영어로 하면? 레게는 Reggae 니까 Reggae hair 인가? ㅎㅎ 이렇게 불러도 대부분 알아듣긴 하겠지만 더 정확한 표현은 Dreadlocks 이라고 합니다. 그냥 Dreads 또는 Locks 라고만 하기도 한다네요. 구글에서 "dreadlock" 이라고 검색하면 이렇게 레게머리 이미지가 나옵니다. 이 "드레드락" 은 흑인 음악가 "밥말리" 에 의해서 널리 알려졌고, 이제는 그 기원 따위는 관심없고 그냥 멋있어서 하고 다니는 패션이 되어버렸습니다. 원래 기원을 따라가보면 두가지 이야기가 나옵니다. 첫번째로는 "라스타파리아니즘(Rastafari Movement)" 이라는 일종의 흑인 종교같은 것인데, 이 종교를 믿는 사람을 래.. 더보기 집중탐구) Thread vs Yarn (실과 털실?) 영어로 "바늘과 실" 하면 우리는 "Needle and thread" 라고 배웠습니다. 그러므로 항상 실은 thread 로 알고 있었는데, yarn 이라는 단어를 "실" 로 많이 사용하네요. 그래서 yarn 과 thread 가 어떻게 다른지 찾아봤습니다. 일반적으로 yarn 이 thread 보다 더 "두꺼운 실" 을 말합니다. 뜨개질을 crochet 라고 하는데, 뜨개질하는 실은 crochet thread, crochet yarn 이라고 합니다. 구글에서 crochet thread 라고 검색하면 아래와 같이 뜨개질로 입신의 경지에 이르신 엄마가 자기 자식을 위해서 요렇게 뜨개질로 에어리언 코스튬을 만들어줬네요^^ +_+)=b 아래 그림에서 오른쪽이 yarn, 왼쪽이 thread 에 해당되겄심돠~ 더보기 v$datafile 에서 unrecoverable_time 컬럼 - Nologging 작업으로인한 복구 불가 문제 v$datafile 딕셔너리 뷰를 조회하다보면, 아래와 같이 unrecoverable_time, unrecoverable_change# 라는 컬럼에 값이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복구를 할 수가 없다는 말인데... 쫌 살벌한 말이네요~~ 이런 현상이 생기는 이유는 nologging 작업이 수행되었기 때문입니다. nologging 작업이란 대량의 DML SQL 작업을 할때 Redo Log (Archive Log) 양을 줄이고 속도를 빠르게 하기위해서 Log를 쌓지않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Log를 쌓지 않고 작업하기 때문에 작업 자체를 빨리 끝낼 수 있지만, 복구할때 문제가 됩니다. 복구하는 과정을 보면, 먼저 RMAN 백업이나 Hot Backup 받은 파일에서 데이터파일을 복구하고 Archive Log.. 더보기 Oracle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 - Instant Client 다운로드/설치 Oracle DBMS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내 PC 에 Oracle Client S/W 가 있어야 합니다. 이때 Oracle Client S/W 설치를 위해 Oracle DBMS S/W 를 통째로 다운로드 받아서 S/W만 설치후 이용해도 되긴 하지만, Oracle DBMS S/W 가 꽤 큽니다. 버전별로 약간씩 차이가 있는데, 보통 3~4GB 정도 되죠^^ DB 접속 좀 하자고, 4GB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려면 좀 거시기 합니다... 예전에 포스팅한 적이 있는 Oracle Express Edition 을 설치해서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근데, 이것도 2GB 정도의 크기입니다. 좀더 라이트하게 Client 모듈만 받아서 사용할 수 있으면 좋을겁니다. 이런 경우의 해답이 "인스턴트 클라이언트"(.. 더보기 오라클 Archive Log Full 처리 방법 - 아카이브로그 공간부족 에러 해결 Oracle DBMS 를 운영하는 DBA 들에게 Archive Log 관리는 매우 중요합니다. 이 Archive Log 파일 한개라도 날려먹으면 백업복구가 딱 그 날려먹은 파일전까지만 복구할 수 있어서 장애시 최신상태로 복구가 안되죠~ 정말 중요합니다. Archive Log 때문에 DBA 들이 고생하는 진짜 이유는 Archive Log Full 로 DB가 Hang 걸리는 경우입니다. 거의 모든 DBA 들이 적어도 한번 이상은 다들 경험이 있습니다. 아카이브로그는 DML 작업이 많으면 많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대량 배치작업, ETL 작업 등을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이 Archive Log 디렉토리가 Full 차는지 수시로 체크해야 합니다. 이미 Full 차서 DB가 서버린 경우에는 Archive Log 를.. 더보기 이전 1 ··· 26 27 28 29 30 31 32 ··· 57 다음